강릉아산병원 소개 및 가는 방법

이번 시간에는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에 이어 강원도에서 두 번째로 큰 병원이며 영동지역 최대 규모의 병원인 강릉아산병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강릉아산병원 소개

2021년 1월 기준 의사 204명, 병상수 804병상으로, 아산병원 중 서울아산병원 다음으로 또 강원도 내 대형병원 중에서도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다음으로 두 번째로 큰 병원이며 영동지방 최대의 병원이다. 강원 영동 권역응급의료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개원 이래 영동지방 최초 신장 · 각막 이식수술 성공, 생후 42일 영아 심장수술 성공 등 개심술 200례 돌파, 인공 무릎관절 치환술 4,000례 실시, 심장 혈관조영술 및 중재적 시술 3,000례 실시 등 전국 유수의 대학병원에 버금가는 규모이다. 최근에는 서울아산병원에서 근무하던 유명한 교수들을 영입해서 경쟁력 강화에 나서고 있고, 소아외과와 소아 흉부외과 교수도 영입해 소아 관련 수술을 실시중이다.[2][3] 2008년에는 방사선종양학과 및 암센터를 개소하여 지역 암 질환 치료에 앞장서고 있다. 또한 울산대학교 의과대학의 4학년 실습을 서울아산병원, 울산대학교병원과 함께 강릉아산병원에서 실시한다. 2015년 9월에 신관을 증축했다. 1997년 1월 13일부터 3월 4일까지 방송된 MBC 월화 미니시리즈 ‘의가형제’의 촬영지이다. 2021년 1월부로 보건복지부로부터 상급종합병원으로 지정돼 운영중이다. 2023년 5월 강원도 최초 AI MEDTECH 전문기업 웨이센이 개발한 인공지능 소화기 내시경 ‘WAYMED Endo'(웨이메드 엔도)를 도입했다.

아산사회복지재단 소개

아산사회복지재단은 강릉아산병원의 설립자인 정주영 초대 이사장을 중심으로 설립된 기관으로, 한국의 현대사에서 큰 역할을 한 인물입니다. 정주영 이사장은 강원도 통천군 송전면 아산리에서 태어나, 한국의 현대화와 통일을 위해 많은 기여를 한 고상한 인물로 알려져 있습니다. 아산은 창조적 기업가 정신과 강인한 추진력을 바탕으로, 한국전의 폐허를 벗어나 현대 자동차와 현대중공업 등을 창설하여 세계 시장으로 진출했습니다. 또한 현대건설을 설립하여 중동의 주베일 산업항공사와 서산 방조제 건설 등 국내외의 역사적인 사업을 주도했습니다. 이를 통해 그는 한국의 산업화와 국제화를 이루며 한국 경제발전을 선도해 왔습니다. 아산은 1988년 서울 올림픽을 유치한 주역으로, 한국을 세계에 알리고 국민들에게 자부심을 심어 주었습니다. 또한 1998년에는 평화와 통일을 위해 소떼를 몰고 판문점을 거쳐 방북하며 남북 교류의 물꼬를 개척했습니다. 아산사회복지재단은 1977년에 설립되었으며, 기업 이윤의 사회환원을 신념으로 하고 있습니다. 설립자의 의지에 따라 재단은 사회적으로 어려운 이웃들을 돕기 위해 의료사업, 사회복지 지원, 학술 연구, 장학사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아산사회복지재단은 사회 발전과 복지 증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강릉아산병원 가는 방법

강릉아산병원에 가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방골마을입구 시내버스 정류소를 이용하면 됩니다. 강릉에서 속초로 가는 완행 시외버스는 양방향으로 정차하며, 강릉에서 속초로 직행하는 시외버스는 강릉 방향에서만 하차가 가능합니다. 또한 동서울에서 주문진으로 가는 노선도도 이 정류소를 지나가지만 정차하지는 않습니다. 이 정류소는 “강릉아산병원”이라는 표기로 명시되어 있습니다. 연계 시내버스로는 300, 300-1, 300-2, 302, 302-1, 302-2, 314, 314-1, 314-2, 315, 932번 버스가 운행되고 있습니다. 300, 300-1, 300-2, 314, 314-1, 314-2, 932번 버스는 강릉약국 정류장에서 하차하면 되며, 302, 302-1, 302-2, 315번 버스는 강릉아산병원 정류장에서 하차하면 됩니다. 단, 강릉아산병원입구 정류장에서 하차하면 병원까지 거리가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속초 방면으로 가는 시외버스의 운행 시간표는 강릉시외버스터미널 출발 시간을 기준으로 약 15분 후에 해당 정류소를 통과합니다. 속초 방면으로의 운행 시간은 다음과 같습니다: 07:15, 08:15, 09:25, 09:55, 11:25, 12:45, 14:10, 16:15, 17:32, 18:42, 20:47 강릉이나 주문진 방향으로 가는 경우, 300번(터미널 미경유), 302번, 314번, 315번 버스를 대체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속초 방향으로 가는 경우, 시간이 맞지 않으면 강릉시외버스터미널에서 하차한 뒤 직행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